본문 바로가기
수능 영어 공부/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영어해설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영어 37번 해설: 직독직해, 글의 순서파악

by fullbase 2025. 9. 7.

영어 순서 파악하기 문제

안녕! 오늘은 글의 순서를 맞추는 문제를 함께 풀어볼 거야. 이번 글은 수학 글에 대한 내용이야. 문제는 “주어진 글 다음에 어떤 순서로 문장이 이어지는 게 자연스러울까?”를 묻고 있어.

 

 

2026학년 9월 모평영어
2026학년 9월 모평영어

 

  1. 시작 문장: 독자의 경험이나 상황을 언급 → 공감 형성
  2. 공감 뒤 문장: “너 혼자가 아니야, 전문가들도 그래” → 질문을 던지고 공감 이어주기 → B
  3. 질문 뒤 설명: “사람들이 생각하는 복잡한 기호들은 사실 최근에 생긴 것이고, 수학은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다” → 설명 → A
  4. 설명 뒤 요약: “간단히 말해서, 수학이라고 말하려면 뭔가 수학적 과정이 있어야 한다. 먼 과거 글은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요약 → C

즉 글의 논리 흐름은 이렇게 되는 거지:

시작 문장 → B → A → C

  • 시작 문장: 경험 언급, 공감 유도
  • B: 질문과 공감 이어주기 (너 혼자가 아니야)
  • A: 구체적 설명 (기호와 역사)
  • C: “put simply” 요약, 결론

이 구조가 질문 → 설명 → 요약의 전형적인 논리 구조야.
즉, C는 “put simply” 신호로 바로 올 수 없고, A에서 충분한 설명이 나온 뒤 요약으로 와야 자연스러움.


1️⃣ 문장 요약

  • (B): “여러분이 수학 글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해서 당황할 필요 없어. 전문 수학자들도 문제를 이해하려면 동료들과 토론할 때가 있거든. 그런데 먼저, 글이 수학인지 어떻게 알아볼까?”
  • (A): “수학 글을 보면 이상한 기호들이 많지만, 이런 기호들은 최근에 생긴 거야. 예전에도 수학은 있었어.”
  • (C): “글이 수학인지 알려면 뭔가 수학적인 내용이 있어야 해. 오래된 글이나 낯선 언어로 된 글이라면 알아보기 어려울 수 있어.”

2️⃣ 순서를 생각하는 방법

  1. 글을 읽다가 ‘수학 글이 뭔지 알아보려면?’ 하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먼저 나와야 해.
    (B)
  2. 그 다음으로,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기호들은 사실 최근에 생긴 것이고, 예전에도 수학은 존재했다”라는 배경 설명이 이어져야 해.
    (A)
  3. 마지막으로, “정말 오래된 글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라는 결론이 오는 게 자연스러워.
    (C)

3️⃣ 결론

즉, 글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순서는

B → A → C

✅ 정답은 ②번이야!


4️⃣ 단어 & 표현

  • mathematical: 수학적인
  • complicated: 복잡한
  • notation: (특히 수학·과학·음악에서) 기호, 표기법
  • rest assured: 안심하다
  • colleague: 동료

 

⚖️  순서맞춰서 직독직해 및 해석, 주요 표현


시작 문장

원문:
Perhaps at some point you have seen some mathematical writing and not understood it.

 

 

직독직해:
아마도 / 어느 순간 / 너는 / 어떤 수학적 글을 / 보았을지도 몰라 / 그리고 / 이해하지 못했을지도 몰라.

해석:
아마도 어느 순간 수학 글을 본 적이 있지만,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주요 표현:

  • perhaps: 아마도
  • at some point: 어느 순간
  • mathematical writing: 수학 글

(B)

원문:
You would not be the first; rest assured, even professional mathematicians sometimes have to rely on discussions with colleagues to properly understand problems they are looking at. But how do you recognise some writing is mathematical in the first place?

 

직독직해:
너는 / 첫 번째 사람이 아니야; / 안심해도 돼, / 심지어 / 전문 수학자들도 / 때때로 / 동료들과의 토론에 의존해야 해 / 자신들이 바라보고 있는 문제를 /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 그러나 / 어떻게 / 너는 알아볼 수 있을까 / 어떤 글이 / 수학적이라는 것을 / 애초에.

해석:
여러분이 수학 글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해도 처음이 아니다. 안심해도 된다. 심지어 전문 수학자들도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동료들과 토론할 때가 있다. 그런데 먼저, 글이 수학인지 어떻게 알아볼까?

주요 표현:

  • rest assured: 안심하다
  • colleague: 동료
  • properly understand: 제대로 이해하다

(A)

원문:
The complicated notations that might spring to mind — all those strange dashes, squiggles and letters — are obvious signs, but a lot of those are really quite modern. Mathematics had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before the dashes and squiggles were invented.

직독직해:
머릿속에 떠오를지도 모르는 / 복잡한 기호들은, / 모든 이상한 대시, 꼬부라져 읽기 어려운 글자, 그리고 문자들은 / 명백한 표시야, / 그러나 / 그중 많은 것들은 / 사실 꽤 현대적이야. / 수학은 / 그 대시들과 꼬부라진 글자들이 발명되기 훨씬 전부터 / 계속 존재해 왔어.

해석:
수학 글을 보면 이상한 기호들이 많다. 이런 기호들은 명백한 표시이지만, 사실 대부분 최근에 생긴 것이다. 수학은 이런 기호들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존재했다.

주요 표현:

  • notation: (수학·과학에서) 기호, 표기법
  • squiggle: 꼬부라진 글자, 구불구불한 선
  • spring to mind: 떠오르다

 

dashes and squiggles

  • dashes → 긴 줄표, 대시 -
    • 예시: 5 − 3 = 2 에서 − 같은 선
  • squiggles → 구불구불한 선, 꼬부라진 글자
    • 예시: 물결 모양 ~ 나, 손글씨에서 꼬불꼬불한 글자
    • 수학에서는 √, ∑ 같은 기호도 처음 보면 헷갈려서 “꼬부라진 글자”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됨

쉽게 말하면:

“dashes and squiggles” = 글 속에서 이상하게 생긴 선, 구불구불한 기호 같은 것들.
처음 보면 이해하기 어렵지만, 수학에서 자주 쓰이는 기호들이야.

예시: “√”나 “∑” 기호는 오래전에는 없었어.  피라미드나 별자리 계산 같은 오래된 수학도 기호 없이 존재했단 뜻.


(C)

원문:
Put simply, there has to be something mathematical going on for us to say that it is mathematics. And if we are dealing with writing from a very distant past, in a language that is not familiar to us, from a time even before recorded language, that can be sometimes difficult to recognise.

직독직해:
간단히 말해서, / 뭔가 수학적인 것이 진행되고 있어야 해 / 우리가 그것이 수학이라고 말하기 위해. / 그리고 / 만약 우리가 다룬다면 / 매우 먼 과거의 글을, /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언어로 / 기록된 언어가 존재하기 이전 시대의, / 그것을 알아보기란 / 때로 어려울 수 있어.

해석:
간단히 말해서, 글이 수학이라고 하려면 뭔가 수학적인 내용이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아주 먼 과거,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언어로 된 글이라면 그것을 알아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

 

예시:  숫자를 세거나 도형을 계산하는 과정이 있어야 수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림이나 기호로 기록된 옛날 문서, 예를 들어 피라미드 계산 기록 같은 것. 처음 보면 뭐가 수학인지 바로 알기 힘들다.

주요 표현:

  • put simply: 간단히 말해서
  • distant past: 먼 과거
  • recognise: 알아보다, 인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