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영어 32번 문제에 대한 문장별 해설과 어휘 정리해보겠습니다.
1️⃣ 빈칸 문제 접근법
- 빈칸 문장 먼저 보기
- 문장: Thus, the prescription for more empathy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포인트: Thus → ‘결과/결론’ 표시
- 결론이 들어갈 자리이므로, 앞 문장에서 말한 내용의 결과를 넣어야 함
- 영어 글 읽기와 빈칸 문제를 풀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문두 신호어(signal words) 표
신호어 종류 대표 신호어 의미 / 역할 빈칸 문제에서 활용법 결과 / 결론 Thus, Therefore, Hence, Consequently, So 앞 문장의 이유·사실을 바탕으로 결론이나 결과를 제시 빈칸에 들어갈 결론이나 결과 문장 찾기 대조 / 반전 But, However, Yet, On the other hand, Nevertheless 앞 문장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 소개 빈칸에 반대·대조 문장 들어갈 때 첨가 / 추가 Also, In addition, Moreover, Besides,
Furthermore앞 내용에 더하는 정보 빈칸에 추가 정보·사례 들어갈 때 예시 / 설명 For example, For instance, Namely,
That is앞 문장을 구체화하거나 사례 제시 빈칸이 구체적 예시·설명일 때 요약 / 결론 재강조 In short, In summary, To sum up,
Overall앞 내용 요약 빈칸에 요약·정리 문장 들어갈 때 조건 / 가정 If, Unless, Provided that, In case 조건 설정 빈칸에 조건·가정 관련 문장 들어갈 때 원인 / 이유 Because, Since, As, Due to, Owing to 원인·이유 제시 빈칸이 이유를 나타낼 때
2️⃣ 앞 문장 분석하기
- 앞 문장은 모두 공감(empathy)의 부정적 측면을 설명
- 갈등 악화 → “empathy makes such conflicts worse”
- 감정적 소진, 둔감 → “can be exhausting and lead to burnout, insensitivity…”
- 우리편/남편 구분 → “tend to empathize strongly with our in-group… resist empathizing with out-groups”
- 오해 → “unable to accurately empathize… causing further misunderstandings”
✅ 정리: 공감의 부작용과 한계를 연속적으로 나열 → 따라서, ‘공감을 더하자는 처방’이 잘못된 것임
3️⃣ 예측 문장 떠올리기
- 빈칸 자리에는 “공감을 더하자는 처방은 효과가 없다 / 오히려 역효과다”가 들어갈 것이라고 예측 가능
4️⃣ 선택지 분석 및 제거
① underestimates the invisible conflicts… | 글에서 그룹 내 갈등 과소평가 언급 없음 → 제거 |
② is triggered by the need for solutions… | 글에서 ‘해결 필요 때문에’ 공감한다고 안 함 → 제거 |
③ is often counterproductive in cases of conflict | ✅ “공감은 갈등 상황에서 역효과” → 딱 맞음 |
④ functions as a facilitator in the resolution… | 글에서는 반대로 말함 → 제거 |
⑤ raises questions about negative attitudes… | 글의 논지와 관련 없음 → 제거 |
✅ 정답: 3번
5️⃣ 핵심 포인트 요약
- 빈칸 문제 → 먼저 빈칸 문장 보기
- Thus, Therefore 등 결과/결론 신호 단어 확인
- 앞 문장에서 주된 내용(부정적 근거) 분석
- 빈칸에 들어갈 문장 예측 → 결론, 결과, 역효과 등
- 선지 하나씩 대조 → 기능 불일치 제거
📖 본문 해석 및 해설
1. 문장 해석
"Although empathy is widely praised by scholars and public figures, not everyone is an empathy booster."
- 해석: 공감은 학자들과 공인들에 의해 널리 칭송받지만, 모든 이가 공감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 해설: 공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함을 암시합니다.
2. 문장 해석
"Critics of empathy argue that empathy will not save us from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conflict."
- 해석: 공감의 비판자들은 공감이 대인 관계 및 집단 간 갈등을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이 갈등 해결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비판적인 입장을 제시합니다.
3. 문장 해석
"In fact, they argue, empathy makes such conflicts worse."
- 해석: 실제로 그들은 공감이 이러한 갈등을 더 악화시킨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이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강조합니다.
4. 문장 해석
"These critics maintain that empathy can be exhausting and lead to burnout, insensitivity to suffering, or worse."
- 해석: 이러한 비판자들은 공감이 소진을 초래하고, 고통에 대한 둔감함이나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의 부정적인 측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5. 문장 해석
"They argue that we tend to empathize strongly with our in-group and resist empathizing with out-groups, and even enjoy the suffering of out-groups in competitive or threatening contexts."
- 해석: 그들은 우리가 우리 집단에 강하게 공감하고, 외집단에 대한 공감을 거부하며, 경쟁적이거나 위협적인 상황에서 외집단의 고통을 즐기기까지 한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이 집단 간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6. 문장 해석
"Thus, the prescription for more empathy ( )"
- 해석: 따라서, 더 많은 공감을 권장하는 것은 ( )이다.
- 해설: 앞서 언급된 공감의 부정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공감을 더하자는 처방이 적절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7. 문장 해석
"Empathy, they argue, can further entrench conflict and force us into an us vs. them mentality."
- 해석: 그들은 공감이 갈등을 더욱 고착화시키고, 우리 대 그들 사고방식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이 갈등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8. 문장 해석
"Finally, even when we try to empathize with others who are dissimilar from us or in unfamiliar contexts, sometimes we are unable to accurately empathize with their experiences, causing further misunderstandings and frustration."
- 해석: 마지막으로, 우리가 우리와 다른 사람이나 낯선 상황에 공감하려 할 때조차, 그들의 경험에 정확히 공감하지 못해 더 많은 오해와 좌절을 초래할 수 있다.
- 해설: 공감의 한계를 강조하며,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9. 문장 해석
"Critics of empathy argue that we should give up on empathy and employ other tools in pursuit of social harmony, e.g., rational compassion or moral emotions like fear, anger, and shame."
- 해석: 공감의 비판자들은 우리가 공감을 포기하고 사회적 조화를 위해 다른 도구들, 예를 들어 합리적 동정이나 두려움, 분노, 수치심과 같은 도덕적 감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해설: 공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감정적 접근을 제안합니다.
📘 어휘 정리
entrench | 확립하다, 고착시키다 | The policy has entrenched inequality. |
compassion | 동정, 연민 | She showed compassion towards the homeless. |
exhausting | 지치게 하는 | The long journey was exhausting. |
burnout | 탈진, 소진 | He suffered from burnout after overworking. |
insensitivity | 둔감함, 무감각 | His insensitivity to others' feelings was apparent. |
entrench | 확립하다, 고착시키다 | The tradition has become entrenched over generations. |
mentality | 사고방식, 정신상태 | A competitive mentality can be harmful. |
✅ 정답 해설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답은 ③번입니다.
- 근거: 앞서 언급된 공감의 부정적인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공감을 더하자는 처방이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 마무리
이번 32번 문제는 공감의 한계와 그로 인한 갈등 심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다루고 있습니다. 문장별 해석과 어휘 정리를 통해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정답을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